본문 바로가기
칼럼

지오펜싱 마케팅의 전략과 윤리 – 고객의 동의는 어디까지 필요한가?

글쓴이 Ashley Kim 2025년 03월 19일

내 위치를 추적하고 있는건가?

사용자가 특정 매장 앞을 지날 때 스마트폰으로 날아오는 프로모션 알림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이것을 "스마트 마케팅"이라 부르지만, 고객들은 “내 위치가 왜 추적되고 있는 거지?”라고 생각할 수 있다. 지오펜싱 기반의 위치 마케팅은 뛰어난 전환율을 자랑하지만, 동시에 개인정보와 윤리의 민감한 경계 위에 서 있는 기술이다. 오늘은 서비스 기획자 또는 마케터가 반드시 알아야 할 지오펜싱 마케팅의 전략적 고려사항과 법적·윤리적 쟁점을 정리해본다.


위치정보는 민감 정보이다.

위치정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사용자의 이동 경로, 생활 패턴, 소비 습관 등 개인의 삶을 고스란히 반영하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법상 민감 정보로 간주된다. 지오펜싱 마케팅은 사용자의 현재 또는 예상 위치를 기반으로 타겟팅 광고를 보내기 때문에, 반드시 명시적 사전 동의가 필요하다.


법적 기준: 국내 개인정보 보호법과 GDPR 비교

 마케팅 목적으로 위치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단순한 “서비스 이용 동의”만으로는 부족하다. 사용자에게 정확한 목적, 사용 범위, 보유 기간을 고지하고, 동의 여부를 구체적으로 받아야 한다.    

사용 동의 방식: 어느 수준까지 동의를 받아야 하나?


고객의 침묵은 동의가 아니다.

  1. 지나친 알림 빈도는 사용자 피로도 증가
  2. 민감 장소 (병원, 종교 시설 등) 주변 알림은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음
  3. 특정 매장에서 머문 시간을 분석해 “구매 가능성 높은 고객”으로 분류하는 행동 → 법적 문제는 없지만 ‘고객이 불쾌할 수 있다’

디지털 마케팅의 궁극적 목적은 고객의 경험 향상이어야 한다. 지오펜싱은 고객의 ‘공간’을 침범하지 않고, '상황'을 배려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지나친 프로모션은 장기적 관점에서 브랜딩에 도움이 안 될 수 있다.

법적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목적이 아닌, 고객 경험 중심의 전략 수립 필요

지오펜싱 마케팅은 놀라운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그에 앞서 반드시 고객의 동의와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 기술은 강력한 만큼 더 높은 윤리적 기준이 요구된다. 법적 기준을 지키는 것이 목표가 되어서는 안되며, 고객 경험 중심의 전략을 세우는 것이 지오펜싱 마케팅의 진정한 성공 요인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