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토리

크롬보다 로컬 브라우저가 강한 나라들: 글로벌 크로스 브라우징 전략

글쓴이 iropke 2025년 03월 21일

전 세계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는 Google Chrome을 기본 브라우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국가에서는 로컬 브라우저의 사용률이 크롬을 능가하거나, 로컬 브라우저가 특정 영역에서 절대적인 점유율을 가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중국, 러시아, 인도, 중동 국가들은 디지털 주권과 정책적 이유로 독자적인 웹 브라우저 생태계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러한 국가들을 중심으로 로컬 브라우저의 특성과 크로스 브라우징 전략 시 고려할 점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중국 (China)

로컬 브라우저의 지속적인 발전

중국에서는 구글 크롬과 마이크로소프트 엣지가 여전히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국산 브라우저들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브라우저로는 360 세이프 브라우저(360 Safe Browser)가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보안 중심 설계: 악성 코드 및 피싱 사이트 차단 기능이 강화되어 있습니다.
  2. 중국 내 서비스 최적화: 중국 내 인기 있는 웹 서비스와의 호환성이 높습니다.
  3. 경량화된 구조: 리소스 사용을 최소화하여 저사양 기기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합니다.​

이러한 브라우저들은 중국의 인터넷 검열 정책에 부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웹 환경을 제공합니다.

• 주요 로컬 브라우저: 360 Safe Browser, QQ Browser, Sogou Browser, UC Browser

• 크로스 브라우징 시 고려사항:
- WebKit 기반이나 최신 W3C 표준 적용이 늦음
- 플래시 등 구형 기술 의존 사례 존재
- 콘텐츠 필터링 및 자바스크립트 제한 많음
- 타 브라우저 대비 낮은 성능의 JS 처리 속도

• 대응 방안:
- 경량화 된 스크립트 구조 유지
-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및 클라이언트 로직 최소화
- 보안 정책(CSP) 간소화 및 다국어 입력 처리 강화


러시아 (Russia)

디지털 주권 강화를 위한 브라우저 정책

러시아는 디지털 주권 강화를 위해 자국산 브라우저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브라우저로는 얀덱스(Yandex) 브라우저가 있습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로컬 콘텐츠 최적화: 러시아어 콘텐츠에 최적화된 검색 및 추천 기능을 제공합니다.
  2. 보안 기능 강화: 피싱 및 악성 사이트 차단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3. 정부 정책 준수: 러시아 정부의 인터넷 정책에 부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2025년부터 판매되는 전자기기에 자국산 브라우저를 포함한 특정 소프트웨어의 사전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 주요 로컬 브라우저: Yandex Browser

• 크로스 브라우징 시 고려사항:
- Chromium 기반이지만 자체 렌더링 설정 존재
- VPN 및 프록시 기술과의 충돌 가능성
- 로컬 콘텐츠에 대한 우선 접근 경향

• 대응 방안:
- 크롬과 유사한 렌더링 기준으로 테스트
- 검색 노출 및 URL 리다이렉트 정책 유의
- 폰트 렌더링 및 캐시 전략 점검 필요


인도 (India)

디지털 주권을 위한 토종 브라우저 개발

인도 정부는 'Aatmanirbhar Bharat(자립 인도)' 캠페인의 일환으로 자국산 웹 브라우저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브라우저는 인도 전자정보기술부(MeitY)가 주관한 '인도 웹 브라우저 개발 챌린지'를 통해 선정된 팀들이 개발 중이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데이터 주권 강화: 사용자 데이터가 인도 내에 저장되도록 설계되어, 데이터 보호법(DPDP Act)에 부합합니다.

2. 현지화 지원: 다양한 인도 지역 언어를 지원하여, 사용자 접근성을 높입니다.

3. 보안 기능 강화: 디지털 서명 및 아동 보호 기능 등 보안 기능이 통합되어 있습니다.​

• 주요 로컬 브라우저: JioPages, Bharat Browser, IndusOS 기반 브라우저

• 크로스 브라우징 시 고려사항:
- 크롬 기반이 많으나 광고 차단 플러그인 기본 적용
- 지역 언어 UI 특성상 폰트 깨짐 및 맥락 대응 이슈
- 저사양 기기에서의 처리 성능 제한

• 대응 방안:
- 경량 HTML, SVG 이미지 최적화
- 폰트 fallback 설정 강화
- 반응형 UI 구성에서 글자 수 제한 고려


중동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

프라이버시 중심의 브라우저 선호

아랍권에서는 글로벌 브라우저 외에도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브라우저들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브라우저로는 덕덕고(DuckDuckGo) 프라이버시 브라우저가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용자 추적 방지: 광고 추적 및 쿠키 차단 기능이 강화되어 있습니다.
  2. 간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직관적인 디자인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3. 다양한 플랫폼 지원: iOS, Android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브라우저들은 아랍권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보호 요구에 부합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주요 로컬 브라우저: Zarebin Browser, Salam Browser, 기타 모바일 웹뷰 기반 브라우저

• 크로스 브라우징 시 고려사항:
- 콘텐츠 필터링, HTTPS 강제 적용, 프록시 문제
- RTL(오른쪽-왼쪽) 텍스트 처리 필수
- 특정 국가에서 구글 서비스 차단

• 대응 방안:
- RTL 지원을 고려한 dir="rtl" 속성 명시
- 외부 CDN보다 자체 호스팅 리소스 권장
- 현지 인증 대체 수단 확보 (SMS 인증 등)


각 지역의 로컬 브라우저들은 해당 국가의 정책, 사용자 요구, 기술 환경에 맞춰 특화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웹 서비스 기획 및 개발 시 이러한 지역별 브라우저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로벌 서비스를 구축할 경우 브라우저 점유율만 보고 크롬에만 최적화된 UI를 만드는 실수를 피해야 합니다. 특히 중국, 러시아, 인도, 중동 국가들은 자국산 브라우저의 비중이 높고, 렌더링 및 보안 정책에서도 독자적인 기준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로컬 환경을 고려한 크로스 브라우징 전략이 필수입니다. 글로벌 웹 접근성을 확보하려면 로컬 특성을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이롭게는 15년 이상 다양한 언어로의 웹사이트를 제작해 왔으며, 글로벌 웹 접근성에 많은 경험이 있습니다. 3개국어 이상의 웹사이트 구축을 계획하고 계시다면 이롭게에 프로젝트를 문의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