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

NEOM: 사막 위에 그려진 미래 도시의 청사진

2025년 05월 01일

1. 추진 배경

사우디아라비아는 오일 머니로 성장한 국가 경제 구조의 지속 가능성에 한계를 느끼며, '비전 2030(Vision 2030)'이라는 대전환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계획의 핵심 중 하나가 바로 NEOM이다. 단순한 경제 다각화가 아닌, 에너지·기술·관광·생활 전반의 혁신을 실험할 수 있는 초국가적 도시 국가를 세우는 것이 목표다. ‘Neo’(새로운)와 ‘Mostaqbal’(미래)에서 유래한 NEOM은, 미래의 인간 삶의 표준을 새롭게 정의하겠다는 야심찬 선언이었다.

2. 구축 목표

NEOM은 기존 도시의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문명 모델을 설계하려는 시도다. 사우디 북서부 홍해 인근에 조성 중인 이 도시는, 탄소 배출 제로·자율주행 기반 교통체계·완전한 재생에너지 전환·AI 중심 도시 운영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가장 주목할 프로젝트는 170km 직선형 도시 ‘더 라인(The Line)’이다. 이 도시는 자동차, 도로, 탄소 배출이 모두 없는 수직형 도시이며, 고속 교통수단으로 20분 내 모든 구역 이동이 가능하다는 개념을 담고 있다.

3. 차별점

NEOM은 기존의 스마트시티가 “도시 개선”을 추구했다면, NEOM은 도시 문명 자체를 새로 정의하려는 시도이며 다음 측면에서 뚜렷한 차별점을 가진다.

- 도시 설계 방식: 평면 도시가 아닌 3차원 수직 도시 구조

- 이동 인프라: 자동차·도로 대신 초고속 교통 시스템, 지하 물류 네트워크

- 생태 전략: 100% 재생에너지 기반, 탄소 제로를 전제로 한 도시 디자인

- 거버넌스 모델: 사우디 왕정체계와 별개로 독립된 입법·사법권을 갖춘 자치 행정 체계

4. 적용된 주요 기술

NEOM은 기술의 전시장이다. 실제로 이미 다수의 글로벌 기술 기업과 협업이 진행 중이며, 핵심 기술은 아래와 같다.

- 디지털 트윈 도시 시뮬레이션: 물리적 도시가 완성되기 전, 전체 인프라를 디지털로 재현해 운영 실험

- AI 중심 도시 운영 시스템 (City OS): 에너지, 보안, 물류 등 도시 기능을 AI가 통합 관리

- 드론 및 무인교통 체계: 하늘과 지하의 무인 운송 시스템. 자율주행 기반 로지스틱스

- 스마트 수자원 및 에너지 관리: 해수담수화, 재생에너지 통합 제어 시스템

-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실험: AI 어시스턴트, AR 인터페이스 기반 시민 서비스 제공

5. 시사점

NEOM은 기술적 혁신을 넘어서, '도시'라는 인간 공동체의 형태가 다시 쓰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것은 곧 미래의 도시들이 인프라가 아닌 가치와 체계의 재구성을 통해 탄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속 가능성, 기술 실증, 인간 중심 설계 사이의 균형은 NEOM의 가장 큰 실험이자, 전 세계 스마트시티들에게 주어진 새로운 질문이다. ‘도시를 어떻게 지을 것인가’가 아니라, ‘무엇을 위해 도시는 존재하는가’를 묻는 새로운 시대의 시작이다.

 

👉 '스마트 시티(Smart City)'에 대한 모든 글 확인